로그인회원가입기사제보구독신청기사쓰기 | 원격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기사제보
구독신청
광고안내
저작권문의
불편신고
제휴안내
기관,단체보도자료
 
뉴스 > 고창人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상거리당산은 월산천의 수구막이다
수구막이다오거리당산 톺아보기~ 오거리당산의 입지와 기능 ②
이병열 기자 / 입력 : 2011년 02월 22일(화) 11:43
공유 :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에

매년 정월대보름에 진행하던 오거리당산제가 올해(2월 17일)는 구제역과 조류독감 때문에 축소된 당산제 형태로 치러졌다. 고창읍에 거주하는 이병열 박사(지리학)에게 의뢰해 오거리당산의 유래, 특징 등을 연속기획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상거리당산 배치도


   

상거리 할아버지 당산

상거리, 노동천과 월산천의 합수로 범람 잦아
상거리는 조선조말 방장산 아래 마을인 천북동(川北洞)일대를 말한다. 상거리 당목이 있었던 천북동은 본래 천남면 동산리에 속해 있던 강변 땅이어서 조선중기까지도 인가가 없던 곳이다. 이곳은 노동천과 월산천의 물이 합수하는 지점으로 잦은 범람으로 치수사업이 어려워 마을이 설수 없었던 동산물의 황무지였으나, 조선후기부터 치수사업이 잘 되어 사람들이 집을 짓고 살기 시작하면서 인구가 많아져 마을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지형은 홍수에 의한 범람의 위험이 있는 곳이다. 마을 유래는 1950년대 후반에 읍사무소에서 조급하게 지은 이름이다. 천북동의 위치를 봐서도 분명히 천남면의 땅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천남동이라 불러야 옳은데 지금까지 천북동 그대로 부르고 있다. 그러나 주변의 새주소는 천변남로로 기재하고 있어, 그 본이름을 찾았다.

지도상에서 확인한 바로는 월산천이 당산 정면으로 공격하여 물이 들어오고 있었는데, 언제부터인가 월산천의 물을 남쪽으로 돌렸다가 다시 북쪽으로 흐르도록 돌린 흔적이 보인다. 이렇게 물을 돌림으로써 당산과 천북동은 월산천의 직접적인 공격으로부터 피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천북동은 불리한 수계뿐만 아니라 고창읍성의 남쪽에서 뻗은 기맥과 북동쪽의 방장산의 기맥이 양쪽에서 뻗어와 좁은 수구를 만들어 물이 완만하게 빠져 나갈 수 없다.

이 수구 밖으로 물이 빠르게 빠져 나가 형성된 지형에 입지한 마을이 현재의 모양동과 천북동이다. 두 하천이 만나는 지점에는 합간정(合澗亭)과 임간정(臨澗亭)이라는 정자도 있었다고 전한다.


   

상거리 할머니 당산

할아버지·할머니·아들은 자연석, 며느리는 당목(堂木)
상거리 당산은 원래 동부리(東部里)로 불렀으며, 이곳에는 신체가 자연석인 할아버지 당산과 할머니 당산, 그리고 아들 당산이 남아 있고, 신체가 당목(堂木)인 며느리 당산은 할머니 당산 옆에 남아 있다. 이의 명칭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나 이 글에서는 고창오거리당산제보존회와 전 문화원장 이기화선생의 주장을 따른다. 그리고 ‘동산물 숲쟁이’ 또는 ‘동부리 당숲거리’라는 이름도 남아 있다. 옛 고창읍내의 끝인 상거리의 당숲거리는 사라지고 입석들과 최근에 심은 느티나무 2그루와 1그루의 오래된 팽나무가 남아 있다.
할아버지 당산은 수북동의 작은 동산 끝부분에 높이 184cm, 넓이 75cm의 자연입석이 신체로 있으며, 주변에는 최근에 심어진 것으로 확인되는 느티나무 두 그루가 서있다. 할아버지 당산은 40도 방향의 동동북을 바라보고 있다. 이 방향은 고창의 진산인 방장산의 최고봉 옆의 낮은 봉우리다. 이는 할아버지 당산이 누군가에 의해 이동한 결과라 생각한다. 왜냐면, 당산은 풍수적 의미로 안산에 해당하는 기능과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안산을 당산으로 조성할 때는 안산이 진산을 바라보도록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거리 할아버지 당산이 이렇게 진산인 방장산의 최고봉을 바라보지 않고 다른 봉우리를 바라본다는 것은 모순이 된다. 따라서 상거리의 할아버지 당산은 지금의 위치에서 방향을 방장산의 최고봉을 바라보도록 맞추어야 한다. 지역의 고로들에 의하면 새마을사업을 할 때 손을 댄 것 같다고 한다. 

할머니 당산은 할아버지 당산의 정동방향으로 약 18m쯤 떨어진 천북동 18번지(동산5길 27번지)의 집안에 높이 195cm, 넓이 95cm의 자연입석이다. 할머니 당산은 정북을 바라보며 세워져 있다. 며느리 당산은 할머니 당산의 바로 옆에 있는 약 300년 된 팽나무다.

아들 당산은 모양동 167번지 대로변에 세워져 있는데, 할아버지 당산을 바라봤을 때 정동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당산의 방향은 정북을 향해 세워져 있으며, 할아버지 당산과의 거리는 약 330m정도 떨어져 있다. 현재 아들 당산의 크기는 확인할 수가 없다. 왜냐면 당산의 2/3가 주변이 높아지면서 묻혔다고 한다.


   

상거리 아들 당산

   

상거리 며느리 당산

 

 

 

 

 

 

 

상거리의 당산은 수구막(水口幕)
상거리의 당산은 수구막(水口幕)이었다. 수구는 풍수지리에서 골짜기의 물이 빠져 나가는 곳을 말하는데, 좋은 수구는 물의 흐름이 보이지 않도록 멀리 돌아 흘러 하류가 보이지 아니하여야 형세가 좋다. 이는 수구를 통해 지기가 빠져나간다는 선조들의 믿음이 만들어 낸 결과가 수구막이다. 상거리는 고창읍내의 뒷부분이기 때문에 수구막이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풍수의 논리는 절대적이라기보다는 상대적 논리다. 즉 고창천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는 수구막이가 아니지만, 천북동의 동쪽에 있는 월산리, 월곡리, 석정리의 입장에서는 수구막이가 된다.

한편 상거리에는 마을과 당을 보호하기 위해 숲을 조성하여 제방을 대신하였다. 숲은 할아버지 당산 앞에서부터 천변을 따라 나무가 조성되었다. 고로들에 의하면, 과거에 숲쟁이 부근에서 팽이버섯을 채취하고, 나무로 숯을 만들었고, 괴목이 있었다고 한다. 숯의 재료는 재질이 단단한 나무가 사용되는데, 주로 갈참나무·굴참나무와 같은 참나무류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금강 범람원지대의 촌락과 경지 주변에는 방수림과 방풍림으로 밤나무, 소나무, 참나무 등의 숲을 조성하였다. 조선후기 익찬(翊贊) 황윤석(黃胤錫)이 합간정에서 읊은 시에 ‘城角山回扚籬根水落沙梁魚大小味塊月淺深波’이 있다. 해석하면 ‘성곽모서리산은 외나무다리 둘러가고, 울타리 밑을 흐르는 물은 모래에 떨어지네. 어량으로 잡은 고기 크고 작은 그 맛은, 홰나무 달 비친 얕고 깊은 물에서라’이다. 합간정 주변에 홰나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볼 때 상거리 숲쟁이의 수종은 참나무류, 팽나무, 느티나무, 밤나무, 홰나무(회화나무) 등의 잡목으로 추정된다.

한편 원래의 상거리 당산은 산신제로 추정하고 있다. 당산은 마을을 지키는 철륭으로 모신다고하고, 철륭 흙을 건드리지 못한다고 한다. 철륭의 신체는 쌀을 독에 넣어 모신다고 한다. 이 철륭이 터줏대감인 철륜대감(鐵輪大監)에서 온 것인지 물을 관장한다는 천룡신(天龍神)으로 표기해야하는지 확실하지 않다고 한다. 다만 마을사람들은 마을과 개인의 수호신으로 믿었다고 한다. 한편 상거리 당산은 고창의 해가 떠오르는 곳으로, 서방으로 불리는 동녘에 위치해 있으며, 고창의 동쪽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당제는 정월초 하룻밤에 지낸다.

   
이병열(백강전쟁기념사업회 사무총장)

이병열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고창농협, 상임이사 선출과 조합장 사퇴—조합 내 갈등, 어디
“2026 고창군수 선거, 누가 도전에 나서는가”
고창 선동초등학교 결국 역사 속으로
이해충돌방지법의 한계
[인터뷰] 고창군장애인체육회 홍기문 사무국장
고창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오는 3월5일 실시
한국국악협회 고창지부, 새 지부장 임병대 무투표 당선
고창미래교육센터, 160억 규모 교육혁신의 첫걸음 내딛다
정읍·고창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마무리…7개 금고 새 이사
정읍시, 초고압 송전선로 전면 반대 선언…“정읍을 포위하는
최신뉴스
국민연금공단, 정읍에 인재개발원 착공…2027년 5월 완  
정읍시의회 이상길 의원, 신태인 파크골프장 현장 점검  
고창읍 휴먼시아 단지 내 ‘LH꿈꾸는작은도서관’ 새단장  
고창군, 푸드뱅크·주민도움센터 통합 운영  
고창갯벌 세계유산 지역센터, 내년 말 준공 목표  
“다시 외쳐보는 1894, 백성이 주인되는 세상”  
고창교육, 3년째 이어지는 디지털 배움터  
불길 앞선 용기, 대형 산불 막았다  
고창 하전, 바지락으로 여는 5월의 오감 축제  
고창군 고향사랑 지정기부금, 재창단 야구부에 전달  
이나영 고창분소장, 세계적 학술지에 ‘방사선환경’ 연구  
고창문화관광재단–석정웰파크요양병원, 치유문화 확산 맞손  
고창군, 계절근로자 우호국과 국제 농업협력 강화  
고창군–웰파크시티, 체육단체·자매도시 우대 협약  
고창읍성 서문 앞 전통예술체험마을 운영 준비 착수  
편집규약 윤리강령 윤리강령 실천요강 광고문의 제휴문의 개인정보취급방침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구독신청 기사제보
상호: 주간해피데이 / 사업자등록번호: 404-81-36465/ 주소: 전북 고창군 고창읍 월곡로 38번지 상원빌딩 3층 / 발행인.편집인: 박성학
mail: hdg0052@naver.com / Tel: 063- 561-0051~2 / Fax : 063-561-5563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전북 다01244 | 등록연월일: 2008. 5. 24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성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