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기획·연재 > 향토서사시
|
최종편집 : 2014-03-20 오후 05:02:55 |
|
|
|
|
|
출력 :
|
|
|
|
|
[향토서사시]낙산리(洛山里) 거북바위의 유래
|
거북바위는 성내면 산림리 낙산마을 동쪽 제성(帝城)산에 있다. 이 바위는 한국에서 자좌오향(子坐午向)의 남과 북을 정확히 가리키는 풍수학(風水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2013년 02월 05일
|
|
|
|
|
|
[향토서사시]첨금처(沾襟處)의 유래
|
첨금처는 옛 무장고을 한제산(韓堤山)과 망치산(望峙山) 사이의 송현(松峴)골을 파고들어 효생(孝生)이 들까지, 그리고 방고개 앞 들에서 도산(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2013년 01월 31일
|
|
|
|
|
|
[향토서사시]경방동(京坊洞)의 유래
|
경방동은 고창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 이름이다. 고려중기에 한림학사(翰林學士) 오학인(吳學麟)이 식읍으로 하사받은 고창고을로 내려와(1060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2013년 01월 23일
|
|
|
|
|
|
[향토서사시]녹사(綠沙)마을의 유래
|
흥덕 읍내에서 동쪽으로 1마장 거리에 동남좌향으로 설기된 마을 천혜적으로 동북류의 물 흐름이 비옥한 옥토를 충적시킨 동네이다. 이 마을의 어귀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2013년 01월 11일
|
|
|
|
|
|
[향토서사시]심원면(心元面)의 유래
|
삼한시대에는 마한 땅으로 모로비리국(牟盧卑離國)의 속지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땅 상노(上老)현에 속하였으며 통일신라 경덕(景德)왕 16년에는 개
이기화 기자 : 2012년 11월 30일
|
|
|
|
|
|
[향토서사시]구시포의 유래
|
상하면의 서남단에 자리한 유래 깊은 포구이다. 전해오는 풍수설에 의하면 뒷산 형국이 치구시(馳驅嘶, 준마가 울부짖으며 달리는) 형태라 하여 당
이기화 기자 : 2012년 11월 14일
|
|
|
|
|
|
[향토서사시]등선(登仙)마을의 유래
|
모양성 남쪽 주령 계곡에 남북으로 길게 화산천(化山川)을 머금은 노동저수지가 누워있고 그 남쪽 끝자락의 동쪽 중동골재 산비탈 문양골에 등선(登
이기화 기자 : 2012년 11월 01일
|
|
|
|
|
|
[향토서사시]방(榜)고개 이야기
|
방고개는 상하면 송곡(松谷)리에서 무장 송계(松溪)로 넘어가는 고개 이름이다. 옛날 영광 법성포쪽에서 한양으로 가는 지름길 고개로 역사적으로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2012년 10월 18일
|
|
|
|
|
|
[향토서사시]방등산(方等山) 이야기
|
방장산의 본래 이름은 백제때의 방등산이었다. 방정평등(方正平等)하다는 불가의 바탕정신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고려시대에도 이 뜻을 새겨 극락에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2012년 06월 04일
|
|
|
|
|
|
[향토서사시]성두리(星斗里) 이야기
|
모양성의 성머리는 북극성좌와 일치해 있었다. 성두리는 북두(北斗)와 남두(南斗)를 아우르는 중성공두(衆星拱斗) 형국의 지세를 이루고 있지만 본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2012년 05월 21일
|
|
|
|
|
|
[향토서사시]오태동(五台洞) 이야기
|
흥덕현의 옛날 고을터(縣治所)는 오태동이다. 흥덕읍에서 209호선을 따라 서쪽으로 두어마장 거리에 있다. 오태동의 연원을 보면 천기설과 연계되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2012년 05월 14일
|
|
|
|
|
|
[향토서사시]삼태(三台)의 유래(由來)
|
성송면에 가면 옛 송미지(松彌知)현과 무송(茂松)현의 치소(治所)자리가 있다. 삼태마을에서 북쪽으로 두어마장 거리에 표고 2백미터의 삼태봉(三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2012년 04월 23일
|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고창 해리교차로 안전성 논란, 주민 “교각 철거” 요구 |
[인터뷰] 이수진 도의원 “지역신문 위기, 더는 방치할 |
정읍시의회 특위, 송전선로·화력발전소 현장방문 |
개정된 ‘농업4법’ 논란, 고창군 현수막 정치로 번져 |
정읍지황, 뿌리로부터 증명된 유산성…현장·세미나 모두 ‘ |
우렁이 농법 9년…해리농협, 친환경 농업 뿌리내리다 |
27억원 특교세 확보…정읍·고창 현안·재난 대응 숨통 |
정읍시, 대통령 지역공약 국가계획 반영 총력 |
정읍시-필리핀 나익시, 계절근로자 합동 점검 |
정읍 신태인시장, 빈 점포 새 주인 찾는다 |
시민 목소리 담는 ‘정읍시민소통위원회’ 재출범 |
정읍 다문화작은도서관 10주년, 문화로 이어진 성장의 기 |
정읍 가축시장, 염소 판로의 숨통 트였다 |
웹툰으로 그린 정읍, 전국을 잇다 |
다문화 청소년 위한 진로캠프 열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