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기사제보구독신청기사쓰기 | 원격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기사제보
구독신청
광고안내
저작권문의
불편신고
제휴안내
기관,단체보도자료
 
뉴스 > 고창살이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한일 고대사의 재검토
나카무라 기자 / 입력 : 2011년 07월 27일(수) 11:25
공유 :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에

경북 영주시 풍기읍에 동양대학교가 있다. 이 대학에서 경제학을 가르치는 김운회 교수가 계신다. 이 분은 경제학 전문가인데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역사서를 몇 권이나 출간하고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지난주 이 분을 만나기 위해 남편과 함께 동양대학교를 갔다. 우리 집에서는 꽤 먼 거리였는데 차로 3시간 이상이나 걸렸다.


<대쥬신을 찾아서>의 저자 김운회 교수를 만나다
김운회 교수의 주장은 이렇다. 중국북동부와 만주 및 몽골에서 일어난 쥬신족은 수천년 전부터 나라를 이뤘다 흩어지는 반복을 통해 한반도에 정착한 사람들이 백제(반도부여)이며,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일본열도에 정착한 사람이 왜(열도부여)이다. 백제의 성왕은 백제와 왜 및 가야를 연결하는 범부여족의 유기적 시스템을 만들고자 남부여라는 국호를 썼다고 한다. 김운회 교수는 2006년 『대쥬신을 찾아서』라는 역사서를 출간하여 약 5만부나 팔리는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의 이 저서는 한국인의 민족적인 뿌리를 찾고자 하는 시도였다. 그 중에서 한일고대사에 한정된 부분만 발췌해서 더 구체적으로 연구한 것이 2010년에 출판된 <새로 쓰는 한일고대사>이다.

김운회 교수는 이 책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일제강점기의 일선동조론과 비슷한 것 같지만 의도하는 것이 전혀 다르다. 역사자료를 근거로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생각해도 한일 간의 뿌리는 같다. 한국과 일본 중 한 쪽의 국익을 위한 저술이 아니라는 것이다. 역사적 사실만이 한일관계를 좋아지게 만든다는 신념을 가지고 이 책을 써냈다."

지난봄 필자는 김운회 교수에게 연락을 했다. 그의 저서인 <새로 쓰는 한일고대사>를 일본어로 번역·출판하는 문제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저자와 한국의 출판사도 동의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일본쪽 출판사를 찾지 못했고, 필자도 다른 일들로 인해 번역작업이 잘 진행되지 않았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이 책은 꼭 번역해야 한다고 계속 마음 속으로 생각하였다. 이야기를 조금이라도 현실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동양대학교에 직접 가서 김운회 교수를 만나기로 한 것이었다.


한국과 일본이 더 가까워지게 만드는 책을 번역·출판하고 싶다
한일고대사에 관한 수많은 책이 한국에서도 일본에서도 출판되어 있다. 그런데 두 곳의 저서들 모두 공통점이 있다. 일본에서 출판된 책은 한국의 내용을 잘 모르고 있고, 한국에서 출판된 책은 일본의 사정에 대해 명백하지도 않다. 특히 고대사는 자료가 많지 않아 학자들의 상상력에 맡겨야 하는 부분이 있다. 새로운 유적이나 유물이 발견되면, 과거의 설이 무너질 가능성이 높은 불안한 분야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대야말로 한 국가라도 확실한 자료가 많은 것이 좋을 것이다. 한국의 역사서가 일본 독자에게 닿는 것이 더 깊은 연구의 가능성을 넓힌다고 믿는다. 한 단계 높은 역사의 진실에 다가갈 수 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연구 성과의 향상은 뛰어난 개인 한 사람의 업적이 아니다. 과거의 선인이 쌓아 놓은 업적 위에 누군가의 새로운 연구 성과가 더해져 가는 작업이다. 한국에 오래 사는 일본인으로서 한일관계를 좋아지게 만드는데 도움이 되는 좋은 책의 번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다고 생각한다.


나카무라 에미코(中村 惠実子) 씨는 일본어 강사와 통·번역 코디네이터 역할을 하며, 고창읍에 살고 있다.

※다음은 이 글의 일본어 원본입니다


   

나카무라 에미코
(中村 惠実子)

「韓日歴史の再検討」

慶北のブンギに東洋大学という大学がある。そこで経済学を教えている金雲會教授という方がいらっしゃる。この方の専門は経済学であるにも関わらず、今まで歴史関係の書籍を何冊も出版し、韓国でベストセラーとなっている。先日この教授に会うため、夫と東洋大学まで足を伸ばした。わが家からはかなりの距離だった。車で三時間以上は掛かっただろうか。

 金雲會教授の主張は、「中国東北部や満州およびモンゴルを発祥とする珠申族という民族は数千年前から国を興していた。彼らがあちこちに散らばり、韓国に根付いたのが百済(半島扶余)で、韓半島南部から日本列島の九州など海岸線に根付いたのが、倭(列島扶余)だ。百済の聖王は百済と倭そして伽耶を一つにまとめた汎扶余族の有機的システムを作ろうとして、南扶余という国号を使用したのだ。」という説を展開している。韓国で特にヒットしたのは、2006年出版の「大珠申を探して」という本だ。韓国人のルーツを解明しようとする試みだった。その中から、韓日関係に絞ったものを中心に抜粋し、より具体的に古代の韓日関係を立証していったものが、2010年出版の「書き直された韓日関係史」である。金雲會教授は私にこうおっしゃった。「戦前の日朝同祖論と似ているようだが、意図するところが全く違う。歴史資料を根拠に、科学的に考えて、日本と韓国の根が同じだとしか言えない。日韓どちらかの国益を増大させようと意図しているのではない。この事実が韓日の未来をより良いものにするという信念からこの本を書いた。」

私はこの春、金雲會教授と電話とメールで連絡をとった。この「書き直された韓日関係史」を日本で翻訳出版しようと著者の金雲會教授と合意した。韓国側の出版社との話はついている。しかし、日本側の出版社が確定しない情況であり、私も他の仕事に追われ、ついつい翻訳作業があとまわしになっていた。しかしいくら考えても、この本の翻訳はやったほうがいいと、気になってしかたががない。話をすこしでも現実的に進めるため、細かいことを打ち合わせるために、東洋大学まで直接出向いて、著者の金雲會教授と会うことにしたのだ。

古代史に関する多くの書物が、日本でも韓国でも出版されているが、どちらも共通項がある。日本で出版された本は、韓半島の詳しい事情が書かれていない。韓国で出版された本には、日本国内の情況が不明瞭である。お互いに良くわからないながら、両国の歴史家が、手探りで考察しあっているその姿が浮かび上がってくる。なにしろ古代の話であり、資料も少ないので著者の想像にまかせるしかない部分も多くある。新しい遺跡が発見されて、過去の見解が総崩れになる可能性も高い不確かな時代である。そういう時代のことであるからこそ、資料は一つでも多いのに越したことはない。韓国の著作が日本の読者に届くことが、より広い考察の資料となると期待している。そうしてこそ、より確かな歴史の真実に近づけるのだと思う。研究成果の向上というのは、決して優れた個人一人の業績ではない。それまで、先人が積み上げてきた業績の上に、誰かの新しい成果が上乗せされていくことでに他ならない。韓国に長く暮らす日本人として、韓日関係好転の一助になるような、両国の絆を深くするような書物の翻訳に積極的に関わっていきたいと思う。

나카무라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고창농협, 상임이사 선출과 조합장 사퇴—조합 내 갈등, 어디
“2026 고창군수 선거, 누가 도전에 나서는가”
고창 선동초등학교 결국 역사 속으로
이해충돌방지법의 한계
고창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오는 3월5일 실시
[인터뷰] 고창군장애인체육회 홍기문 사무국장
한국국악협회 고창지부, 새 지부장 임병대 무투표 당선
고창미래교육센터, 160억 규모 교육혁신의 첫걸음 내딛다
정읍·고창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마무리…7개 금고 새 이사
정읍시, 초고압 송전선로 전면 반대 선언…“정읍을 포위하는
최신뉴스
국민연금공단, 정읍에 인재개발원 착공…2027년 5월 완  
정읍시의회 이상길 의원, 신태인 파크골프장 현장 점검  
고창읍 휴먼시아 단지 내 ‘LH꿈꾸는작은도서관’ 새단장  
고창군, 푸드뱅크·주민도움센터 통합 운영  
고창갯벌 세계유산 지역센터, 내년 말 준공 목표  
“다시 외쳐보는 1894, 백성이 주인되는 세상”  
고창교육, 3년째 이어지는 디지털 배움터  
불길 앞선 용기, 대형 산불 막았다  
고창 하전, 바지락으로 여는 5월의 오감 축제  
고창군 고향사랑 지정기부금, 재창단 야구부에 전달  
이나영 고창분소장, 세계적 학술지에 ‘방사선환경’ 연구  
고창문화관광재단–석정웰파크요양병원, 치유문화 확산 맞손  
고창군, 계절근로자 우호국과 국제 농업협력 강화  
고창군–웰파크시티, 체육단체·자매도시 우대 협약  
고창읍성 서문 앞 전통예술체험마을 운영 준비 착수  
편집규약 윤리강령 윤리강령 실천요강 광고문의 제휴문의 개인정보취급방침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구독신청 기사제보
상호: 주간해피데이 / 사업자등록번호: 404-81-36465/ 주소: 전북 고창군 고창읍 월곡로 38번지 상원빌딩 3층 / 발행인.편집인: 박성학
mail: hdg0052@naver.com / Tel: 063- 561-0051~2 / Fax : 063-561-5563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전북 다01244 | 등록연월일: 2008. 5. 24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성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