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태(三台)의 유래(由來)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입력 : 2012년 04월 23일(월) 11:23
공유 :   
|
성송면에 가면 옛 송미지(松彌知)현과 무송(茂松)현의 치소(治所)자리가 있다. 삼태마을에서 북쪽으로 두어마장 거리에 표고 2백미터의 삼태봉(三台峰)이 있고 그 중간쯤 남창(南倉) 바로 건너에 고현(古縣)마을이 있다. 이곳이 무송고을을 다스리던 치소자리 마을이다. 그리고 고현에서 서북간으로 십리허에 토성(土城)이 있고 그 동쪽마을이 성동이고 남쪽이 성남이다.
전언에 의하면 삼태는 고려조이후 3정승(政丞)이 배출된다는 곳이다. 윤(尹) 정승, 유(庾) 정승, 하(河) 정승이라고 하는데 윤 정승은 무송윤씨의 대제학 윤택(尹澤) 영의정 윤자운(尹子雲) 유 정승은 평산(平山)에서 분관해온 무송유씨 시조 유록숭 좌복야 하 정승은 진주(晋州)하씨 선대의 무송하씨였다고 하지만 기록에 의한 하 정승이 누구인지는 알 길이 없다.
무송현은 백제 때 송미지현의 후신으로 통일신라 경덕(景德)왕 16년에 개명된 현(縣)으로 무령(武灵)의 영현이었다. 송(松)의 개변상징자(改變象徵字)인 무(茂)자가 접두(接頭) 첨가되고 미지(彌知)가 성략되어 고마미지(古馬彌知), 무동미지(武冬彌知) 단밀내미지(單密乃彌知)처럼 백제 지명의 뜻을 함축하고 있다.
하씨의 비조(鼻祖)는 중국 남북조(南北朝)시대 여간(餘干)사람 현령(縣令)출신의 하정(河湞)이며 고려초기 그 동도(東渡) 시조의 가솔이 무장현으로 상륙해와 삼태에서 탄생한 분이 하정승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기록이 없어 찬명(撰名)은 어렵지만 세계화의 한류풍을 위해 삼태봉을 기점으로 이곳 백제 유적지를 「역사유적코스」로 개발함직하지 않겠는가.
|
|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유기상·김민영 조국혁신당 입당…정읍·고창 선거판 요동 |
고창 종합테마파크 추진, 심원면 17개 단체 “지역 생존 |
고준위폐기물 대응 논의…도의회, 한빛원전 점검 강화 |
고창농악 40년, 세계유산의 울림…흥과 전통의 무형유산 |
매운맛이 품은 여름, 고창 해풍고추의 귀환 |
고창교육청·고창군, 교육행정 실무협의회 개최 |
정읍, 도시민 ‘귀농체험 현장실습학교’ 선착순 모집 |
정읍사 국악경연대회, 정읍에 울린 전통의 결 |
사회적경제 인재 양성 ‘정읍시민대학’ 교육생 모집 |
도심 속 힐링 명소, 치유의 숲 조성사업 착공 |
정읍시, 일자리창출위원회 열어 내년 시책 논의 |
정읍, 미로분수와 연계할 벽천분수 추진 |
첨단과학산단 협의체 출범…기업 공동목소리 공식화 |
심덕섭 군수, 도민체전 선수단 현장 격려 |
고창 청보리 파크골프장 준공…“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체육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