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기사제보구독신청기사쓰기 | 원격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기사제보
구독신청
광고안내
저작권문의
불편신고
제휴안내
기관,단체보도자료
 
뉴스 > 향토서사시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오태동(五台洞) 이야기
<향토서사시> (32)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입력 : 2012년 05월 14일(월) 16:26
공유 :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에

흥덕현의 옛날 고을터(縣治所)는 오태동이다.
흥덕읍에서 209호선을 따라 서쪽으로 두어마장 거리에 있다.
오태동의 연원을 보면 천기설과 연계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1652(孝宗)년 장성 필암서원(筆巖書院) 문사로서
흥덕고을 훈장(訓長)으로 초빙된 울산인 김형유(金亨有)가
이곳에 서당을 세우면서 마을을 설기할 때
여러개의 별똥(流星)이 근동에 떨어져 다섯군데나
땅이 패인 것을 보고 느낀바가 있어 오태동으로 이름지었다고 한다.

1914년에 일제(日帝)가 자기네 편익을 위해 전통마을들을
임의대로 통폐합하여 법정리(法定里)를 설정할 때
오태와 신지뫼, 차독백이(石湖)를 망라하여 오호(五湖)리로
통합개편하여 오늘에 이른 것이다.

정조시대 호남실학(實學)의 거두 황윤석(黃胤錫)은
「이재난고」에서 오태(五泰)를 오질태(五叱泰)로 표기하고
흥덕의 옛이름 상칠(上漆)은 ‘옷타’의 한자 상징어로써
취음(取音) 표기인 ‘五泰’ ‘五叱泰’로 표현한 것이라며
토성(土城)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을 보면 상칠현 시대의
현청(縣廳)터는 오태동이 확연하다는 것이다.

상칠(옻타· 타)의 ‘漆’자는 검다는 상징의 뜻으로서 옻칠하는 고을이 되어
천민의 고장이 됨으로 통일신라의 경덕왕 16년(757년) 지명개편 때 고을이름을
상질(尙質)현으로 바꾸고 현청을 흥덕읍내로 옮겨 오늘에 이른 것이다.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백일 붉게 피어난 여름의 기억, 서현사지 배롱나무
고창 청소년, 해외에서 앞날을 보다
이재명 후보, 정읍에서 ‘농민국가’ 비전 강조…“농업은 자부
정읍시장애인복지관, 24개 지역 상점과 평생학습 협약 체결
‘민주주의의 시작’을 품은 공간, 고창 한복판에 서다
“고창갯벌, 누구나 배운다”
51만명 발길 머문 ‘고창 청보리밭 축제’ 대장정 마무리
고창군 ‘인구 5만 지키기 추진단’ 출범…민관 협력의 구심점
행정 너머 정책을 설계하다, 고창군 싱크탱크 출범
고창군, ‘고창형 긴급복지’로 사각지대 메운다
최신뉴스
고창 해리교차로 안전성 논란, 주민 “교각 철거” 요구  
[인터뷰] 이수진 도의원 “지역신문 위기, 더는 방치할  
정읍시의회 특위, 송전선로·화력발전소 현장방문  
개정된 ‘농업4법’ 논란, 고창군 현수막 정치로 번져  
정읍지황, 뿌리로부터 증명된 유산성…현장·세미나 모두 ‘  
우렁이 농법 9년…해리농협, 친환경 농업 뿌리내리다  
27억원 특교세 확보…정읍·고창 현안·재난 대응 숨통  
정읍시, 대통령 지역공약 국가계획 반영 총력  
정읍시-필리핀 나익시, 계절근로자 합동 점검  
정읍 신태인시장, 빈 점포 새 주인 찾는다  
시민 목소리 담는 ‘정읍시민소통위원회’ 재출범  
정읍 다문화작은도서관 10주년, 문화로 이어진 성장의 기  
정읍 가축시장, 염소 판로의 숨통 트였다  
웹툰으로 그린 정읍, 전국을 잇다  
다문화 청소년 위한 진로캠프 열었다  
편집규약 윤리강령 윤리강령 실천요강 광고문의 제휴문의 개인정보취급방침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구독신청 기사제보
상호: 주간해피데이 / 사업자등록번호: 404-81-36465/ 주소: 전북 고창군 고창읍 월곡로 38번지 상원빌딩 3층 / 발행인.편집인: 박성학
mail: hdg0052@naver.com / Tel: 063- 561-0051~2 / Fax : 063-561-5563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전북 다01244 | 등록연월일: 2008. 5. 24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성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