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매산장학회에 감사의 말씀을 올리며
김용욱(고창고 기자 / 입력 : 2012년 05월 21일(월) 10:26
공유 :   
|
먼저 저에게 이런 장학금을 주신 것에 대해 너무나 감사드리고, 앞으로 더 열심히 하라는 뜻으로 생각하겠습니다.
저는 고창고등학교에 작년에 입학해서 지금은 성균관대 사회과학계열을 목표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제게 성균관대는 높은 목표일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그런 목표를 이루기 위해, 우선 저부터 그 목표에 대해 강한 의지를 가지고, 항상 목표를 향해 꾸준히 나아가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것들이 제 뜻대로 되지는 않았습니다. 1학년 성적은 저의 기대와는 다르게 낮은 위치에 있었고, 아직도 저의 목표에 가까워지려면 멀었구나 하고 좌절했을 때가 있었습니다.
그때, 학생들을 단순히 성적으로만 판단해서 장학금을 주는 것이 아니라, 그 학생을 격려하는 차원에서, 학생이 잘 되기를 바라는 차원에서 주시는 이 매산장학금을 받고 정말 감사했고, 한편으로는 목표에 이르기 힘들겠다는 생각 때문에 좌절을 맛보고 혼란스러울 수 있었던 저를 격려해 주시니, 이전보다 더욱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말 오직 학생들만을 위해 장학금을 주시고 격려하는 모습을 보면, 저의 머리에 스치는 구절이 떠오릅니다. 옛날 춘추시대에 공자가 했던 말들을 그 제자들이 엮어 만든 논어의 안연편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군자(君子)는 성인지미(成人之美)하고 불성인지악(不成人之惡)하나니, 소인(小人)은 반시(反是)노라.” 이 말은 즉 “군자는 다른 사람의 아름다움을 이루어주고, 다른 사람의 악을 이루지 못하도록 하나니, 소인은 이와 반대이다”라는 말입니다.
제가 왜 이런 말이 머릿속을 스쳤느냐면, 옛날 중국의 유교사상은 춘추전국시대에 시작되어 동방의 많은 나라에게 영향력을 끼친 종교였습니다. 또 그런 시대에서 유교사상이 나라의 기반이 되었던 곳에서는, 다들 군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자신을 끊임없이 수양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 말은 군자가 되기 어려운 것이었고, 그만큼 훌륭한 사람이라는 것을 의미하는데, 지금 매산장학회에서 저에게 장학금을 주신 것이 꼭 이와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매산장학회에서 제가 가지고 있는 목표를 실천시키고자 격려하는 것에서 ‘성인지미’를 떠올렸고, 좌절감을 맛보았던 저를 위로하고 격려하는 차원에서 장학금을 주신 것에서 ‘불성인지악’을 생각했습니다.
또 군자의 정의라 하면 ‘도덕적으로 완성된 인격자’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공자, 군자, 논어 등의 예를 든 것은, 그만큼 저는 매산장학회가 군자와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고, 그 훌륭함에 다시 한번 감사드리기 위해서입니다.
저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많은 시련, 고난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때마다 저의 꿈을 격려하는 차원에서 주셨던 장학금을 떠올리며 열심히 목표플 향해 노력하겠습니다. 이 감사함을 저의 목표를 이루는 것으로 보답드리겠습니다.
※매산장학회는 올해 3월 고창고등학교 학생 9명에게 각각 50만원씩 450만원의 장학금을 전달했다. 2005년 5천만원의 장학기금으로 출발해, 2008년부터는 1억원의 종자돈으로 장학회를 운영하고 있다. 7회를 맞은 올해까지 총 55명의 학생에게 2850만원의 장학금을 전달했다.
|
|
김용욱(고창고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국민연금공단, 정읍에 인재개발원 착공…2027년 5월 완 |
정읍시의회 이상길 의원, 신태인 파크골프장 현장 점검 |
고창읍 휴먼시아 단지 내 ‘LH꿈꾸는작은도서관’ 새단장 |
고창군, 푸드뱅크·주민도움센터 통합 운영 |
고창갯벌 세계유산 지역센터, 내년 말 준공 목표 |
“다시 외쳐보는 1894, 백성이 주인되는 세상” |
고창교육, 3년째 이어지는 디지털 배움터 |
불길 앞선 용기, 대형 산불 막았다 |
고창 하전, 바지락으로 여는 5월의 오감 축제 |
고창군 고향사랑 지정기부금, 재창단 야구부에 전달 |
이나영 고창분소장, 세계적 학술지에 ‘방사선환경’ 연구 |
고창문화관광재단–석정웰파크요양병원, 치유문화 확산 맞손 |
고창군, 계절근로자 우호국과 국제 농업협력 강화 |
고창군–웰파크시티, 체육단체·자매도시 우대 협약 |
고창읍성 서문 앞 전통예술체험마을 운영 준비 착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