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산면 반암마을, 정감록 십승지 중 한곳으로 밝혀져
김동훈 기자 / 입력 : 2012년 08월 13일(월) 11:05
공유 :   
|
|
 |
|
▲ 아산면 반암리에 있는 병바위. |
고창군은 전국 십승지를 조사한 결과, 정감록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암이 부안군 변산면이 아닌 고창군 아산면 호암(壺岩) 아래 반암마을이라고 발표했다.
지난 8월 9일 전국 십승지 조사용역 보고회에서 풍수학자 김상휘 박사는 “정감록(선조 때 발행 추정) 지은이가 태종 때까지는 고창 아산 반암(흥덕현)이 부안현으로 되어 있었지만, 그 후 흥덕현을 폐하는 과정을 지명 변천사에서 정확히 추적하지 못한 오류를 범했다”라고 지적하며 “호암이라고 하는 지명은 일명 병바위(병호(壺)·바위암(巖))로 불리며 반암(호암)마을을 지켜주고 있는 인천강 옆에 서있는 거대 괴암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감록에서 피승처로 말하는 곳은 전국 60여 곳으로, 부안 호암이라고 기록된 것은 행정구역 변경 이전 태종 14년(1414년) 보안을 부령에 합했다가, 1415년에 분리 후 그해 8월 다시 합했고, 태종 16년 7월에 갈라놓았다가 12월에 다시 부안으로 합했다가, 그 다음해 흥덕진(興德鎭-고창흥덕 내 호암)을 없애고 본 현에 이속시켜 부안진이라고 했다. 이후 1914년 군·면 폐합 때 다시 흥덕진(부안 일부)을 이웃 흥덕군과 무장군에 편입해 고창군 아산면으로 옮겨진 과정을, 오늘날 풍수집필자들이 지명의 변천사를 확인하지 않은 실수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육당 최남선의 ‘심춘순례’에 선운산과 고창 아산 반암마을의 존좌바위, 소반바위, 병바위(호암)를 소개하면서 이곳을 산여수(山與水)가 두르고 흘러 십승지라고 기록된 자료를 근거로 제시했다.
또한 부안 변산에는 호암이라는 지명도 없는데, 현대판 풍수서에서 논리에도 맞지 않는 이곳을 십승지로 기록한 것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일축했다.
한편 반암마을은 그동안 개발되지 않았던 풍수와 연관된 명당과 주변관광지, 기암괴석을 연계해 스토리텔링하여 관광상품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십승지지란 풍수지리설에서 말하는 피란(避亂), 보신(保身)에 적합한 10곳의 장소를 말하며 이에 대한 기록은 정감록, 징비록, 유산록 등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고창 아산, 남원 운봉, 무주 무풍면, 공주 유구읍, 보은 속리산, 합천 가야산, 예천 금당실, 영주 풍기읍, 봉화 춘양면, 영월 상동읍 등을 이른다.
|
|
김동훈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국민연금공단, 정읍에 인재개발원 착공…2027년 5월 완 |
정읍시의회 이상길 의원, 신태인 파크골프장 현장 점검 |
고창읍 휴먼시아 단지 내 ‘LH꿈꾸는작은도서관’ 새단장 |
고창군, 푸드뱅크·주민도움센터 통합 운영 |
고창갯벌 세계유산 지역센터, 내년 말 준공 목표 |
“다시 외쳐보는 1894, 백성이 주인되는 세상” |
고창교육, 3년째 이어지는 디지털 배움터 |
불길 앞선 용기, 대형 산불 막았다 |
고창 하전, 바지락으로 여는 5월의 오감 축제 |
고창군 고향사랑 지정기부금, 재창단 야구부에 전달 |
이나영 고창분소장, 세계적 학술지에 ‘방사선환경’ 연구 |
고창문화관광재단–석정웰파크요양병원, 치유문화 확산 맞손 |
고창군, 계절근로자 우호국과 국제 농업협력 강화 |
고창군–웰파크시티, 체육단체·자매도시 우대 협약 |
고창읍성 서문 앞 전통예술체험마을 운영 준비 착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