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등선(登仙)마을의 유래
<향토서사시>
이기화 기자 / 입력 : 2012년 11월 01일(목) 12:00
공유 :   
|
모양성 남쪽 주령 계곡에 남북으로 길게 화산천(化山川)을 머금은 노동저수지가 누워있고 그 남쪽 끝자락의 동쪽 중동골재 산비탈 문양골에 등선(登仙)마을이 서녘으로 일렁이는 파도를 응시하고 있다.
고려말기까지 범골(虎洞)이던 호동마을의 동북간에 등선마을의 배산(背山)격인 호랑이굴 바위등(虎窟岩嶝)은 풍수상으로 선인강유(仙人降遊)의 계곡을 거느리고 있어 그 지세가 영락없는 쇠금자형국(金字形局)을 이루어 조선 초기까지 첩첩산중의 날학골(飛鶴洞, 늘악골)로 그럴싸한 전설의 명당지역을 상징해주고 있다.
학이 나르는 형국이라고 하고 널(棺)의 아홉골로도 전해오고 있어 등선마을의 동남간 산자락의 정수리에는 임란 때 명나라 군사들이 조선의 명당 터라 하여 큰 방죽만 하게 구덩이를 파놓아 버려 그 흔적은 일본 놈들의 쇠말뚝보다 훨씬 징허게 남아있다.
김해김씨 중조(中祖)인 김관(金管)의 10세손으로 명종(明宗)16년 18세 때 초시에 입격한 영남학파의 선비 김치암(致嵒, 1544~1601)이 집안의 화를 면하고자 선대의 고향 청도(淸道)땅이름 백곡(白谷)을 자호로 하여 호남 땅의 숨겨진 풍수명당골 등선마을을 설기한 이래 15대를 세거하는 장거를 이루고 있다.
|
|
이기화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유기상·김민영 조국혁신당 입당…정읍·고창 선거판 요동 |
고창 종합테마파크 추진, 심원면 17개 단체 “지역 생존 |
고준위폐기물 대응 논의…도의회, 한빛원전 점검 강화 |
고창농악 40년, 세계유산의 울림…흥과 전통의 무형유산 |
매운맛이 품은 여름, 고창 해풍고추의 귀환 |
고창교육청·고창군, 교육행정 실무협의회 개최 |
정읍, 도시민 ‘귀농체험 현장실습학교’ 선착순 모집 |
정읍사 국악경연대회, 정읍에 울린 전통의 결 |
사회적경제 인재 양성 ‘정읍시민대학’ 교육생 모집 |
도심 속 힐링 명소, 치유의 숲 조성사업 착공 |
정읍시, 일자리창출위원회 열어 내년 시책 논의 |
정읍, 미로분수와 연계할 벽천분수 추진 |
첨단과학산단 협의체 출범…기업 공동목소리 공식화 |
심덕섭 군수, 도민체전 선수단 현장 격려 |
고창 청보리 파크골프장 준공…“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체육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