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가 올해 복지 예산으로 총 603억원을 투입하며, 시민 누구나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복지 정책을 전방위적으로 추진한다.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목표로 기초생활보장 확대, 자활 일자리 제공, 의료급여 지원, 국가유공자 예우 등 분야별 세심한 정책을 펼치며 촘촘한 지역 복지안전망 구축에 나섰다.
기초생활보장 확대…탈락 가구도 끝까지 보호
올해는 기초생활보장 기준이 대폭 완화됐다. 기준 중위소득이 전년 대비 6.42퍼센 인상돼 4인 가구 생계급여는 월 195만원 이상으로 확대됐고, 자동차 보유 기준과 부양의무자 기준도 완화되면서 더 많은 시민이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기존 수급 탈락 가구는 지방생활보장위원회 심의로 긴급복지나 민간자원 연계를 통해 지원받을 수 있도록 보호체계를 강화했다.
시민이 만드는 복지안전망…위기가구 조기 발굴
정읍시는 명예사회복지공무원 1419명을 위촉해 지역 곳곳의 위기가구를 조기에 발굴하고 있다. 지난해 밑반찬 지원, 주거환경 개선 등 932건의 맞춤형 복지서비스에 6억1천만원, 긴급 생활위기 2199세대에 18억3천만원을 지원했다. 공유냉장고 사업도 내장상동 등 4개 동에서 운영하며 6만3천여 세대에 4억9천만원 상당의 기부 식품을 전달했다.
자활·일자리 지원…탈빈곤의 실질적 마중물
일자리를 통한 자립 기반 마련에도 힘을 쏟고 있다. 시는 자활근로사업에 4억원, 정읍지역자활센터의 12개 사업단에 23억원을 투입해 세탁, 세차, 카페 운영 등에서 126명의 일자리를 만들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등 자산형성 지원사업에는 4억원을 들여 282명의 청년을 도왔다. 발달지원, 심리지원 등 생애주기별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에는 18억 9천만 원을 배정해 복지를 생활 가까이 확장하고 있다.
의료급여 강화…의료사각지대 해소
중위소득 40퍼센트 이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의료급여를 확대 지원한다. 올해만 32억원을 투입해 1종 수급자에게는 병원 진료비를 1천원~2천원, 약국은 5백원만 부담하게 했으며, 2종 수급자도 본인부담 15퍼센트 이하로 제한했다. 상한제, 본인부담금 보상제도, 현금급여 등 다양한 정책을 병행하며 의료사각지대 해소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보훈·복지 종사자 처우 개선…복지 서비스 질 제고
국가유공자와 복지 종사자에 대한 지원도 확대된다. 호국보훈수당은 2만원 인상돼 연간 총 27억원이 1800명에게 지급되며, 주거환경 개선사업으로 25가구의 노후 주택을 개선한다. 복지시설 종사자에게는 명절 복지수당, 보수교육비 전액 지원, 상해보험 가입 등 복지 향상 정책을 실시해 현재까지 63건, 4300만원의 보험금이 지급됐다.
자원봉사 활성화…시민 손으로 따뜻한 공동체 실현
정읍시는 자원봉사자 4만여명과 함께 생활 밀착형 나눔 실천에 나서고 있다. 올해 5억7천만원을 투입해 자원봉사센터 운영, 상해보험 가입, 우수봉사자 표창 등을 지원하고, 재능나눔축제를 통해 시민 중심의 복지 문화 확산을 이어간다.
이학수 시장은 “복지 사각지대 없는 도시, 시민이 직접 체감하는 복지 정읍을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현장을 살피고, 맞춤형 복지정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4월1일 밝혔다. 정읍시의 복지정책은 단지 예산의 총액이 아니라, 그것이 닿는 방식과 사람에 달려 있다. 수혜자가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과 현장 중심의 실천이 함께할 때, 복지는 진짜 온기를 갖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