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 쉼, 관광과 경제를 하나로 묶는 워케이션이 전북특별자치도에서 제도적 기반 위에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조례 제정은 변화하는 근무문화와 지역 관광 자원의 접점을 찾으려는 시도이며,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사회 흐름에 부응하는 정책 변화다. 전북은 지금, ‘일하는 여행지’로 거듭날 준비를 마쳤다.
김성수 도의원(고창1)이 대표 발의한 ‘전북특별자치도 일·휴양연계관광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안’이 4월3일 열린 제417회 임시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워케이션이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이번 조례는 ‘관광진흥법’에 근거해, 지방자치단체가 워케이션 산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한 제도적 장치다. 워케이션은 코로나19 이후 확산된 재택·원격근무 문화 속에서 등장한 새로운 근무방식으로, 일과 휴식을 함께 누리는 라이프스타일 변화의 상징이자, 지역 관광산업의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조례는 도지사의 책무와 워케이션 기반시설 조성, 관광 인프라 개발, 전담센터 운영, 프로그램 개발, 홍보마케팅, 위원회 구성 등의 8개 조항으로 구성됐다. 특히 권역별 관광개발계획과의 연계를 통해 도 전체 차원의 균형 있는 추진이 가능하도록 했다.
김성수 의원은 “이번 조례는 단순한 근무 형태의 확장이 아닌, 전북의 관광 자원을 경제적 기회로 전환하기 위한 정책적 기반”이라며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 운영과 기반 확충을 통해 지역 기업, 주민 모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전북도는 이미 2023년부터 자체 워케이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1년 만에 참가 인원이 두 배 이상 늘었다. 2023년 1009명에서 2024년 2070명으로 증가했고, 참가자 1인당 평균 지출액은 26만9천원에 달했다. 이는 단기 체류 관광 이상의 체류형 소비 유도 효과를 보여주는 수치로, 워케이션이 지역 경제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음을 뒷받침한다.
조례는 또한 ‘일·휴양연계관광위원회’를 설치해 사업의 실질적 운영 방안과 정책 수립 과정을 조율할 수 있도록 했다. 도지사 주관하에 민관협력 거버넌스를 마련하고, 관광업계와 전문가, 지역 주민의 의견을 반영하는 체계를 갖춤으로써 워케이션이 단발성 유행에 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다. 전북도는 향후 거점 중심의 워케이션 관광거리를 조성하고, 기업·공공기관과 협력해 프로그램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관광숙박시설, 공동업무공간(Co-working space), 지역 식음료 및 체험시설과의 연계를 통해 실질적인 산업 생태계를 갖춰 나간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