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군 송전탑 건설 반대대책위원회(상임대표 문병채)가 4월24일 공식 출범하며, 신장성~신정읍 구간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계획 철회를 위해 본격적인 반대 활동에 나선다. 각 읍·면별로 흩어져 있던 주민 반대 목소리가 대책위를 통해 한목소리로 모이며, 고창군 전체가 공동 대응에 돌입했다.
대책위는 4월24일 2차 비상회의를 열고 출범을 결의했다. 그동안 송전탑 건설 반대 움직임은 주로 ‘신림면 송전탑 반대 비상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이뤄졌으나, 무분별한 한국전력공사(한전)의 송전선로 건설계획이 고창군 전역의 생태계와 주민 삶터를 위협하는 사안으로 확산되자, 고창군 전체가 나서야 한다는 절박함이 공론화되면서 이번 통합 조직이 만들어졌다.
대책위는 문병채 신림면 대책위원장을 상임대표로 선출했고, 서창수·홍성만·문병채·고평규 4명을 공동대표로 구성했다. 문병채 상임대표는 “고창군은 유네스코 세계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청정 자연을 보유한 지역”이라며 “주민들은 초고압 송전선로로 인한 생태계 훼손, 건강권·생존권·재산권 침해를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 송전탑 건설 저지를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며, 군민 여러분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동참을 호소한다”고 밝혔다.
대책위 관계자는 “이번 출범으로 그동안 읍·면 단위로 흩어졌던 목소리를 하나로 결집해 훨씬 강력하고 체계적인 대응 활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고창군민의 뜻을 공식적으로 전국에 알리고, 군민 서명운동, 대규모 집회, 환경영향평가 문제 제기, 항의 방문 등 다각적인 방안을 통해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계획을 반드시 철회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대책위 출범의 배경에는 한전의 송전탑 건설계획이 고창군의 지역 생태·환경뿐 아니라 주민의 일상, 생계, 건강에 미치는 파급력이 크다는 위기의식이 자리 잡고 있다. 대책위 내부 관계자들은 “지역의 미래가 걸린 문제”라며 “단순한 개발 계획 차원이 아니라 주민의 삶 전반을 뒤흔들 수 있는 사안”이라고 입을 모았다.
특히 고창군은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돼 있어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이 가져올 환경적 파괴에 대한 우려는 더욱 크다. 주민들 사이에서는 “한전이 경제성 논리로 밀어붙이는 계획이 결국 군민의 삶터를 훼손하는 일로 귀결될 것”이라는 경계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대책위는 향후 일정을 세부적으로 확정하는 대로 군민 서명운동을 본격 개시하고, 대규모 군민 집회, 환경영향평가 법적 대응, 한전 본사 항의 방문 등 행동에 나설 방침이다. 관계자들은 “군민들의 폭넓은 참여 없이는 결코 계획 철회를 이끌어낼 수 없으며, 이번 싸움은 ‘군민 모두의 싸움’이라는 인식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문병채 상임대표는 “이 싸움은 한두 명의 투쟁이 아니다. 고창군민 모두의 존엄과 미래를 지키기 위한 싸움이다. 절박한 심정으로 모든 군민과 함께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