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기사제보구독신청기사쓰기 | 원격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기사제보
구독신청
광고안내
저작권문의
불편신고
제휴안내
기관,단체보도자료
 
뉴스 > 사회·복지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정읍역 철로에 추락한 취객, 시민이 구조…역무원은 부재
야간 시간대 역사 내 안전관리 실태 도마에…“열차 진입 직전 시민이 직접 끌어올려”
김동훈 기자 / 입력 : 2025년 05월 11일(일) 08:26
공유 :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에

정읍역 수서고속열차(SRT) 승강장에서 취객이 철로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지만, 현장에 있던 시민이 신속하게 구조에 나서 인명 피해를 막았다. 그러나 사고 당시 역무원은 승강장에 없었던 것으로 확인돼, 야간 시간대 철도 역사 안전 대응 체계에 대한 점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52일 오후 1120분께 정읍역 SRT 승강장에서 열차를 기다리던 50대 남성 승객 A씨가 중심을 잃고 철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A씨는 술에 취한 상태였으며, 승강장에서 갑자기 발을 헛디뎌 선로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 상황을 목격한 40대 남성 시민 B씨는 즉시 빨리 올라오라고 외치며 A씨의 반응을 유도했고, 선로 바닥에서 몸을 일으킨 A씨를 직접 끌어당겨 승강장 위로 구조했다. 사고 당시 열차 진입을 알리는 안내 음성이 이미 나온 상태였으며, 곧 이어 기차 전조등이 보일 정도로 긴박한 상황이었다.

사고 현장을 목격한 B씨는 승강장과 선로의 단차가 약 50센티미터 정도여서 겉보기에는 낮았지만, 기차가 곧 진입하는 시점이었기 때문에 매우 위급했다고 밝혔다. 사고는 시민의 신속한 대응 덕분에 인명 피해 없이 마무리됐지만, 대응 체계의 부재가 지적되고 있다.

사고가 일어난 시각에 정읍역 승강장에는 역무원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 따르면, 정읍역은 오후 11시부터 야간 근무 체제로 전환되며, 평상시 5명이던 역무원 인력이 3명으로 줄어든다. 사고 당시에는 감시카메라(CCTV) 관제와 매표, 민원 응대 등으로 승강장 현장을 비웠다고 설명했다. 현장 상황에 따르면, 사고 발생 시 대부분의 승객은 대기실 내부에 있었고, 승강장에 인근 이용객이 거의 없는 상태였다. 이로 인해 사고 직후 현장 대응은 사실상 시민 한 명의 판단과 행동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SRT가 정차하는 정읍역 SRT 승강장은 고속열차 특성상 열차 진입 속도가 빠르며, 별도의 스크린도어도 설치돼 있지 않아 선로 추락 시 중대한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실제로 이번 사례처럼 취객이나 노약자의 안전사고는 예고 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응 속도가 생사를 좌우하게 된다.

현장에서 시민이 직접 구조를 했다는 사실은 감동을 주는 동시에, 공공 교통시설의 야간 안전 공백이라는 근본적 문제를 날카롭게 되묻고 있다. 누군가의 빠른 판단이 한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사람이 아닌 시스템이 책임져야 할 공간에서, 책임이 비워졌다는 경고였다.

김동훈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정읍시, 어린이 전용병동·소아진료센터 새롭게 연다
고창문화관광재단–석정웰파크요양병원, 치유문화 확산 맞손
불길 앞선 용기, 대형 산불 막았다
고창 터미널 혁신지구, 고창의 미래를 짓는다
고창군의원, 여직원 상대로 부적절 행위 논란
고창 장애인식개선 공연 ‘다름있소, 함께하오’ 성료
고창 황윤석 생가, 국가민속문화유산 승격 시동
고창 청년임대주택 경쟁률 ‘12대1’…정주여건 개선에 청년들
몸과 마음이 회복되는 곳, ‘쉼의 플랫폼’
꽃비 내리는 석정에서, 봄날의 기억을 걷다
최신뉴스
정읍 친절공무원, 현장에서 피어난 감동  
헌신이 만든 성과…고창 의용소방대 전북 최우수 평가  
고창·고성 의용소방대, 14년 이어온 영호남 우정과 협력  
색소폰 선율, 고창 무대에 꽃피다  
정읍 청년, 창업으로 자라는 씨앗  
정읍 바이오, 단계별 성장판 만든다  
정읍 생활인구, 머무는 힘으로 빛나다  
작은 손길로 피운 정읍의 녹색 나눔  
흙이 빚은 손끝의 전통, 일상에 깃들다  
아이와 지역을 품은 돌봄, 고창 거점늘봄센터의 하루  
평화는 나눔에서, 학교와 지역이 함께 심는다  
신협·호텔 손잡고 지역 활력 연결고리  
기술인재 육성, 군(軍) 특성화고 협력의 장 열려  
동학농민혁명, 학문 넘어 예술로  
정읍소방서 이상일 제25대 서장 취임  
편집규약 윤리강령 윤리강령 실천요강 광고문의 제휴문의 개인정보취급방침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구독신청 기사제보
상호: 주간해피데이 / 사업자등록번호: 404-81-36465/ 주소: 전북 고창군 고창읍 월곡로 38번지 상원빌딩 3층 / 발행인.편집인: 박성학
mail: hdg0052@naver.com / Tel: 063- 561-0051~2 / Fax : 063-561-5563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전북 다01244 | 등록연월일: 2008. 5. 24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성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