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가 9년 연속 ‘기업하기 좋은 도시’ 명성에 걸맞은 새 기업 지원책을 시행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미래산업 기반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는 기존 ‘1기업 1공무원 전담제’ 등 기업 밀착형 시책에 더해, 산업별 맞춤형 투자 유도책을 새로 도입해 본격적인 집행에 들어갔다고 5월12일 밝혔다.
우선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해 공장 신축 시 지역 건설업체를 활용할 경우 지원 조건을 상향 조정했다. 기존에는 총 투자금 10억원 초과분에 대해 5퍼센트를 보조금으로 지급했지만, 올해부터는 6퍼센트로 인상해 지원 폭을 넓혔다. 정읍시는 이번 조치가 지역 내 공사 수주 기회를 늘리고, 침체된 건설경기에 실질적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업 이전과 함께 근로자 이주를 유도하는 제도도 새롭게 마련됐다. 정읍 외 지역에서 공장을 이전해 4인 이상 가족이 함께 이주할 경우, 최대 2천만원의 이주 정착금을 지원한다. 이는 정착 초기 주거 비용 부담을 줄이고 인구 유입 효과를 동시에 노리는 조치로, 시는 근로자 생활 안정과 지역 소비 진작이라는 이중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정읍시의 전략적 산업으로 분류되는 바이오 분야에 대한 투자 유인책도 강화됐다. 그린바이오·레드바이오를 아우르는 관련 기업 유치를 위해 기존 보조금 지원율을 5퍼센트에서 6퍼센트로 인상해, 10억원 초과 투자금에 대해 보다 직접적인 재정 지원을 약속했다. 시는 이를 통해 정읍의 바이오 산업 생태계를 한층 넓히고, 고부가가치 기반을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한 물류 산업 유치도 눈에 띈다. 정읍은 호남권 중심부라는 입지적 특성과 함께, 사통팔달 고속도로와 철도망을 갖추고 있어 물류 거점 도시로서 잠재력이 크다는 분석이다. 시는 물류기업에 대해 제조업 수준의 보조금 기준을 새로 적용하고, 입지·설비 투자에 대해 차별화된 인센티브를 제공해 정읍 내 물류 거점 유치를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정책 전반은 정형화된 기업유치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의 산업 여건과 기업 입지를 세부적으로 분석해 실효성 중심으로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특히 투자 유치와 동시에 건설경기, 인구 문제, 전략산업 육성, 물류기반 확보를 연계하는 방식은 각 분야를 병렬이 아닌 통합적으로 다루는 접근으로 평가된다. 이학수 시장은 “이번 지역산업 육성과 경제활성화 방안은 침체된 지역 경기에 현실적 해법이 될 수 있도록 현장 중심으로 설계된 것”이라며 “제도 시행에 빈틈이 없도록 하고, 기업과 시민이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읍시의 이번 정책은 더 많은 기업을 유치하는 ‘양적 경쟁’에서 벗어나, 실질적 투자 유인과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질적 전환’의 신호로 평가받고 있다. 성공 여부는 제도의 정교함보다,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현장에 적용되느냐에 달려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