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가장 많은 외국인 계절근로자 3천명이 올해 고창 농촌에 투입된다. 하우스 안팎을 누비는 이들의 손길은 노동력 위기를 넘는 실질적 대안이 되고 있다. 민선 8기 공약사업으로 출발한 외국인 계절근로자 확대 정책은 지역 농가 570곳과 연결되며, 인력난 해소와 지역경제 활력 회복을 동시에 견인하고 있다.
고창군은 7월16일 고창문화의전당에서 외국인 계절근로자 환영식과 의무교육을 열고, 올해 고창에 들어온 외국인 계절근로자 규모가 3천명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 지자체 중 가장 많은 규모다. 현재까지 고창군에는 공공형 계절근로자 55명을 포함해 총 2500명이 입국해 570농가에 배치됐으며, 하반기에는 500명이 추가 입국 예정이다. 군은 민선 8기 공약으로 계절근로자 확대를 추진하며, 2022년 300여명, 2023년 600여명, 2024년 1800여명에 이어 올해 3000명까지 유치 규모를 확장했다.
고창군은 캄보디아를 시작으로 베트남·라오스 등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송출국을 다변화해 왔다. 이들은 농촌의 수확기·정식기 등 계절적 단기 인력이 필요한 시기에 8개월까지 체류하며 현장에 투입된다. 일부 근로자는 재입국 초청도 가능하다. 특히 선운산농협과 대성농협이 운영하는 공공형 계절근로사업을 통해 외국인 근로자를 하루 단위로 고용하려는 농가의 수요도 충족하고 있다. 농협이 직접 고용한 외국인 인력을 필요 농가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중소농가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고창군은 근로자의 안정적인 생활 정착과 노동환경 개선을 위해 복합 지원 정책도 병행 중이다. ▲언어소통 도우미 배치 ▲계절근로자 전문관 상주 운영 ▲작은영화관 무료 관람 ▲무료 건강검진 ▲사랑의 옷 기부행사 ▲삼겹살 파티 ▲희년의료공제 가입 ▲지역 관광 및 문화체험 기회 제공 등이 대표적이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고창형 외국인 계절근로자 정책’을 기반으로 농가의 만성적 인력난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며 “근로자들이 안전하고 인간적인 노동환경 속에서 머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외국인 계절근로자 3천명이라는 수치는 단순한 숫자가 아닌 고창 농업의 현장성과 대응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고창군이 구축한 다양한 정책 기반은 외국인 노동력과 지역 공동체가 충돌 없이 공존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고 있다.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확대는 농촌 인력의 구조적 공백을 메우는 핵심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