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간해피데이 | |
|
|
고창군은 7월21일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미국산 소고기 수입 확대 움직임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위해 축산기관 긴급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고창군청 축산부서, 고창부안축협, 고창군한우협회 회장단 등 7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주요 안건은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규제 완화 요청에 대한 대응과, 이상기후에 따른 축산환경 대응책 마련이었다.
최근 미국 측은 한국 정부에 대해 일본·중국 등 주요 국가들이 이미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을 허용했다는 점을 들어, 한국 역시 관련 규제를 완화할 것을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고창지역 축산 관계자들은 ▲광우병 발생 가능성 및 국민 불안 재점화 ▲국내 소비자 신뢰 저하 우려 ▲국내 한우 산업의 심각한 경제적 타격 가능성과 같은 우려를 제기했다.
특히 간담회 참석자들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2026년부터 미국산 소고기가 무관세로 전면 수입되는 상황에서, 한국은 이미 일본보다 더 많은 물량을 수입하고 있다”며, “미국 측 요구에 대해 중앙정부가 국민 건강과 산업안전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간담회에서는 또한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축산 피해 대응책도 함께 논의됐다. 7월 초부터 이어진 이례적 폭염과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해 가축 사육 환경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으며, 앞으로 게릴라성 폭우와 고온 장기화가 반복될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축산농가의 피해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고창군한우협회와 축협 관계자들은 “가축 스트레스 완화, 환기·급수·차광시설 등 사육환경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하며, 재해 예방 중심의 축산 지원 정책을 적극 요청했다.
이에 대해 염경선 고창군 축산과장은 “폭염·폭우 등 기후위기에 대비한 농가 맞춤형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축산 농가 대상 안전관리 홍보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고창군은 앞으로도 지역 축산농가와 긴밀히 협력해 중앙정부와의 정책 소통을 이어가고, 한우 산업 보호와 소비자 안전을 위한 적극적 대응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