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간해피데이 | |
|
|
고창군이 다시 유통 현장을 열었다. ‘2025 고창 건고추 장터’가 7월23일 고창읍 농산물종합유통센터에서 문을 열고 약 4개월간의 직거래 운영에 들어갔다. 생산자, 상인, 소비자가 직접 참여하는 이 장터는 고추 유통의 첫 단계에서부터 현장성과 거래 투명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구조다.
고창군은 고추 재배 농가의 안정적인 판로 확보와 소비자의 합리적인 가격 구매를 동시에 실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2025 고창 건고추 장터’를 운영한다고 7월23일 밝혔다. 장터는 7월23일부터 11월23일까지, 고창읍 농산물종합유통센터에서 운영되며, 개장일은 매주 주말과 매월 3일, 8일, 13일, 18일, 23일, 28일이다. 운영 시간은 오전 5시부터 오후 1시까지다.
올해 건고추 장터는 거래 참여자들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고객 쉼터와 부대시설을 새롭게 마련했다. 군은 장터를 통해 생산자와 상인이 직접 건고추를 거래하고, 소비자는 이를 직접 구매하는 구조를 조성했다. 거래는 장터 현장에서 실물 중심으로 이뤄지며, 참여 대상은 고추 재배 농가, 상인, 일반 소비자다.
장터 개장일인 7월23일 오전, 심덕섭 고창군수가 현장을 방문했다. 심 군수는 읍·면 고추 작목반장 등과 함께 장터 현장을 둘러보며 농가와 상인들의 애로사항을 직접 들었다. 현장에서 심 군수는 “고창 건고추 장터는 생산농가는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하고, 소비자는 우수한 품질의 건고추를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상생의 직거래 장터로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고창 건고추 장터는 유통 구조의 다층적 문제에 대한 고창군의 현장 실천이다. 중간 유통 단계를 축소한 직거래 구조는 가격 투명성을 높이고, 품질을 직접 확인한 구매를 가능하게 한다. 생산자에게는 판매 창구가, 소비자에게는 신뢰 기반의 구매 선택지가 제공된다.
고창군의 건고추 장터 운영은 지역 농산물 유통 구조의 기초단계부터 생산자와 소비자가 만나는 모델을 제시한다. 지역경제 자립성(경제), 공공 유통시스템의 역할(정치), 직거래 문화의 확산(사회) 등에서 의미 있는 접근이다. 특히 고창군이 제공하는 거래 공간은 단순 판매장이 아닌 유통 구조 개선의 시범장으로 기능할 수 있다. 고창군이 지속적으로 유통 현장을 정비하고, 생산자 주도의 판매 구조를 확립해 나간다면, 지역 단위의 직거래 모델이 어떤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