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가 마을의 미래를 주민 스스로 설계하는 주민총회를 7월31일부터 8월 말까지 연속 개최한다. 자치분권의 핵심인 주민자치를 실현하는 장으로, 올해는 9개 주민자치회에서 내년도 마을사업을 직접 정한다. 주민총회는 주민이 마을을 움직이는 구조를 실현해가는 과정이며, 이는 정읍이 생활민주주의의 한걸음을 꾸준히 내딛고 있다는 증거다.
이번 주민총회는 7월31일 수성동을 시작으로, 8월27일까지 장명동, 내장상동, 시기동, 초산동, 연지동, 농소동, 상교동 등 8개 동과 영원면 등 총 9개소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각 총회는 해당 지역 주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마을의 주요 현안과 특화사업을 주민이 직접 논의하고 결정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정읍시는 2021년 내장상동과 수성동을 시작으로 주민자치회 체계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왔으며, 현재 총 9개소에서 주민자치회가 구성돼 활발히 운영 중이다. 각 자치회는 올해 초부터 분과회의, 주민 의견 수렴, 맞춤형 컨설팅 등을 통해 지역별 의제를 발굴하고 논의해 왔다. 총회 현장에서는 이 과정을 통해 도출된 마을사업 후보들이 주민들과 공유되고, 현장 투표를 통해 우선순위가 결정된다. 선택된 의제는 내년도 주민자치계획에 반영돼 예산과 연계한 실질 사업으로 추진된다.
정읍시는 주민총회를 자치계획의 출발점이자 주민참여 행정의 실질적 플랫폼으로 자리매김시켜 왔다. 지난해에는 880명의 주민이 주민총회에 참여해 지역 의제를 직접 수립하며 자치의 기반을 넓혔다. 김영덕 정읍시 시민소통실장은 “자치분권의 핵심은 주민자치이며, 주민총회는 이를 실현하는 가장 실질적인 통로”라며 “내년도 마을사업을 주민이 직접 정하는 의미 있는 자리에 많은 시민의 참여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주민총회는 의제를 제안하고 토론하는 자리를 넘어, 행정의 기획과 예산 과정에 주민의 선택과 결정이 반영되는 구조로 작동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행정 주도형 사업과 구별되는 중요한 전환으로, 정읍시의 주민자치 정책이 단단한 실천력을 확보해 가고 있다는 방증이다.
정읍시의 주민총회는 행정이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정책의 종착점’이 아니라, 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해 의제를 발굴하고 현실로 구현하는 ‘정책의 출발점’으로 기능하고 있다. 지역의 문제를 주민의 언어로 풀어내는 이 참여의 과정은, 곧 생활자 중심의 민주주의를 일구는 현장이라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