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간해피데이 | |
|
|
정읍지황의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을 향한 지역공동체의 집단적 의지가 하나의 목소리로 터져 나왔다. 정읍시는 7월24일 옹동전통문화생활관에서 ‘정읍지황 농업시스템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 기원 결의대회’를 열고, 민관이 함께 정읍지황의 역사성과 산업 가치를 재확인하며 보존·승계에 대한 공동 의지를 천명했다.
정읍지황은 전통과 산업이 어우러진 지역 농업의 정체성을 품고,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이라는 공동체적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지황 재배농가와 옹동면 주민, 정읍지황융복합사업단, 정읍시 관계자 등 지역 관계자들이 대거 참여했다. 현장에서는 지역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서명운동에 나서며 지황 농업에 대한 높은 애정을 표출했고, 참여자들은 정읍지황의 전통적 가치와 산업적 확장 가능성에 대해 인식을 공유했다. 결의대회는 정읍지황 농업문화의 지속가능성을 점검하고, 공동체 중심의 실천적 보전 활동을 다짐하는 장으로 진행됐다.
정읍지황은 1992년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지황 주산단지로 지정되며 제도적 기틀을 마련했다. 이후 2015년에는 지리적표시 단체표장으로 등록되었고, 2025년 특허청의 ‘정읍지황’ 상표 등록까지 마치며 브랜드로서의 법적 기반을 갖췄다. 특히 2022년부터는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융복합산업지구 조성사업에 선정돼 산업화와 융복합이 결합된 체계적인 작물 육성 체계를 갖춰가고 있다.
정읍시는 이번 결의대회를 통해 행정과 지역공동체, 지황 생산주체 간의 협력 구조를 강화하며,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에 필요한 기반을 넓히겠다는 방침이다. 농업기술센터 기술보급과(과장 하헌준)는 “정읍지황이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될 경우 전통농업문화의 체계적 보존은 물론, 지역 농업 경쟁력 제고와 농촌관광 연계 등 다각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향후에도 정읍지황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전국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행정적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읍지황의 땅에서 시작된 농업문화의 결의가,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을 향한 공동체의 의지로 뜨겁게 타올랐다. 지역 주도형 농업유산 지정 사례로서 정읍지황이 어떤 결실을 맺을지는, 향후 행정과 주민, 산업 주체 간 협력의 밀도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정읍지황은 뿌리 깊은 전통과 산업의 새순이 맞닿은 지점에서, 지역이 직접 선택한 농업유산의 내일을 스스로 써내려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