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군이 오는 9월부터 농촌형 교통모델 ‘행복버스 지원사업’의 노선을 생활권 중심으로 확대 운행한다. 기존 성내면과 신림면 노선이 각각 흥덕터미널과 고창읍 등 주요 거점까지 연장돼, 그간 면 경계를 넘어 이동할 때 겪었던 환승 불편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군은 이를 통해 지역 교통망의 효율성을 높이고 주민생활 편의를 실질적으로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고창군은 최근 농촌형 교통모델사업 간담회를 열고 행복버스 노선 연장을 확정했다고 8월13일 밝혔다. 성내면 노선은 기존 종점에서 흥덕터미널, 하나로마트, 주민행복센터까지 연장된다. 신림면 노선은 고창읍 임시터미널과 영호약국 인근, 고창고를 경유해 장날에는 백양마트까지 운행할 예정이다.
고창군은 최근 ‘농촌형 교통모델사업 간담회’를 열고 행복버스 노선 연장을 확정했다고 8월13일 밝혔다. 성내면 노선은 흥덕터미널, 하나로마트, 주민행복센터까지, 신림면 노선은 고창읍 임시터미널과 영호약국 인근, 고창고를 거쳐 장날에는 백양마트까지 연결된다.
기존에는 면 경계를 넘어 운행이 제한돼, 주민들은 흥덕면이나 고창읍으로 가기 위해 거주지 소재지를 경유해 농어촌버스로 환승해야 했다. 특히 장보기를 비롯한 생활편의 목적 이동에서 시간과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는 불편이 있었다.
군은 운수업체의 사업계획 변경 신고가 접수되는 대로 홍보 절차를 거쳐 9월 중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2019년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농어촌버스 노선이 축소되면서 도입된 행복버스의 운행 범위를 넓혀, 성내면과 신림면에서 수행해온 교통 공백 해소 역할을 한층 강화하게 된다.
행복버스 노선 확대는 지역 주민의 이동권 보장과 생활권 연결성 강화에 직접적인 변화를 가져온다. 신림·성내 지역에서 읍내와 인접 면까지 단일 노선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면, 교통 효율성뿐 아니라 상권 접근성, 공공서비스 이용편의도 높아질 수 있다. 군이 다른 면 지역으로 노선 확대를 병행한다면, 행복버스는 단순한 대체 교통수단을 넘어 지역 교통망 재편의 핵심 수단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