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간해피데이 | |
|
|
고창군이 도시생태축(서식지) 복원사업지의 이름을 ‘고창그린마루’로 확정했다. 이번 명칭은 군민 공모와 두 차례 설문조사, 전문가 자문을 거쳐 결정된 것으로, 생태도시 고창의 정체성과 미래 비전을 담았다. 도로로 단절된 지역의 생태를 연결하고 멸종위기 동식물의 서식지를 회복한 사업의 상징적 출발점이자 지역 생태 회복의 중심 거점이 마련됐다.
고창군은 8월14일 고창읍 도시생태축(서식지) 복원사업지의 공식 명칭을 ‘고창그린마루(Gochang Green Maru)’로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명칭 공모는 7월7~14일 군민을 대상으로 진행됐고 총 56건이 접수됐다. 적합성과 상징성 등을 기준으로 10건을 1차 후보로 추린 뒤, 1차 설문조사를 통해 4건으로 압축했다. 이후 2차 설문과 신림면 ‘책이 있는 풍경 작가회’ 자문을 거쳐 ‘고창그린마루’가 최종 선정됐다.
‘고창그린마루’는 고창의 자연과 생태, 미래 가치를 아우르는 명칭으로, 도시 속에서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허브이자 생명의 흐름을 회복하는 공간이라는 의미가 담겼다. ‘마루’는 지역의 비전을 담은 상징적 표현으로, 산의 정상처럼 생태·환경의 정점을 뜻한고, 집안의 마무처럼 사람과 공간을 잇는 중심을 의미하며, 동시에 사물의 최고 수준을 비유하는 말로 고창이 추구하는 녹색 가치의 최고봉이라는 뜻을 내포한다.
고창읍 도시생태축 복원사업은 도로로 단절된 덕산제 일원과 고창읍성, 자연마당, 꽃정원, 노동저수지, 소생태공원 일원의 생태축을 연결하여 멸종위기 동식물의 서식환경을 복원하는 사업이다. 단절된 생태공간을 잇는 이번 복원은 단순한 경관 정비를 넘어 지역 생태망을 되살리는 사업으로 평가된다. 고창군 고미숙 환경위생과장은 “군민의 자발적 참여로 만들어진 이번 명칭은 생태복원 1번지 고창의 정체성을 담고 있다”며 “앞으로 ‘고창그린마루’를 중심으로 생태환경과 주민 삶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고창그린마루’ 명칭 확정은 복원사업의 목적과 범위를 대중에게 분명히 알리는 행정 절차이자 운영의 기준점이다. 향후에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통해 서식지 회복 정도와 이용 행태를 점검하고, 보완이 필요한 구간을 계획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과제다. 주민 참여형 프로그램과 현장 관리의 균형이 유지될 때, 생태축의 공공적 가치가 안정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