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간해피데이 | |
정읍시가 지역 현안 해결과 지속가능한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역 내 대학들과 손잡았다. 정읍시는 전북라이즈센터, 우석대학교, 전북과학대학교와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 사업’ 협약을 체결하고, 대학을 거점으로 하는 지역혁신 상생모델 구축에 본격 착수했다. 전북도와 정읍시는 총 20억3000만원을 대학에 지원하며, 이 자원을 통해 문화·청년·이주민·상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읍형 혁신사업을 펼쳐갈 예정이다.
정읍시는 8월19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전북라이즈센터·우석대학교, 전북과학대학교와 함께 라이즈(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 협약식을 열었다. 이날 협약식에는 문성식 전북라이즈센터 총괄운영본부 본부장을 비롯해 정희석 우석대학교 라이즈사업단장, 김한수 전북과학대학교 라이즈사업단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지역과 대학의 공동 협력 의지를 확인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정읍시의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 전북도는 14억2000만원, 정읍시는 6억1000만원 등 총 20억3000만원의 예산을 대학에 지원한다. 이 예산은 라이즈사업의 주요 축인 글로컬대학 30사업과 연계해 지역자산 기반의 혁신사업을 추진하는 데 활용된다.
전북과학대학교는 ‘제이비(JB)아트시티플랫폼사업’을 중심으로 ▲이주민 및 다문화 인재 활용 ▲쌍화차거리 활성화 ▲정읍의 과거와 미래를 잇는 참여형 로컬 콘텐츠 개발 등 3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우석대학교는 ‘청년 중심 거리 문화도시 정읍 만들기’ 등 2개 ‘글로컬대학 30사업’을 수행하며, 청년 주도의 도시문화 혁신에 주력할 계획이다. ‘글로컬대학 30사업’은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비수도권 대학(30곳)을 육성하여 지역과 대학이 함께 혁신하는 생태계를 구축하는 교육부의 사업이다.
정읍시는 이번 라이즈 협약을 계기로 문화, 역사, 청년, 이주민, 지역상권 등 지역의 핵심 의제들을 통합적으로 다루는 혁신 모델을 구축하고, 교육·문화·산업을 연계한 프로젝트들을 지속 발굴할 방침이다. 이학수 정읍시장은 “이번 협약은 우리 지역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며, 지역과 대학이 함께 성장하는 상생 모델의 출발점”이라며 “청년 중심 거리 조성과 쌍화차거리 활성화는 정읍의 도시 정체성을 새롭게 구축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읍시가 대학과 손잡고 본격 가동에 들어간 라이즈 사업은 지역자원의 재해석과 대학의 지식역량이 결합하는 구조적 실험이다. 청년 중심 거리 조성과 쌍화차거리 활성화 같은 구체적인 사업들이 정읍의 도시 정체성을 새롭게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청년과 이주민, 로컬 콘텐츠와 도시 정체성이라는 키워드가 융합되면서, 정읍은 ‘대학을 통한 지역혁신’이라는 전국적 의제의 현실적 실험장으로 나아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