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가 오는 9월2일까지 ‘2026년 친환경 농산물 품목다양화 육성 지원사업’ 수요조사를 실시한다. 접수는 농지 소재지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가능하며, 수요조사 결과는 향후 연도별 세부 지원계획 수립에 활용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친환경 농산물의 품목을 확대해 학교급식 등 꾸준히 증가하는 소비 수요에 대응하고, 지역 내 공급 체계를 안정적으로 구축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정읍시는 특히 과수와 채소 등 친환경 전환이 까다로운 품목의 생산을 유도하기 위해 생산관리 및 유통·저장·출하 기반까지 아우르는 종합적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신청 대상은 친환경 인증을 받은 농업경영체 또는 생산자단체이며, 인증면적 기준은 노지 1000제곱미터 이상, 시설재배 330제곱미터 이상이다. 이를 통해 자격 요건이 충족되는 실제 친환경 실천 농가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지원 범위는 생산 현장의 구체적 요구를 반영해 폭넓게 구성됐다. 생산시설 분야에서는 단동·연동 하우스와 관·배수 설비, 과수 재배시설 등이 포함되고, 유통 기반 분야에서는 저온저장고, 보관창고, 선별장 등이 대상이다. 아울러 동력제초기, 고소작업차, 분무살포기, 해충방제장비, 선별기, 포장기 등 주요 작업장비에 대해서도 신규 구축과 보수 모두 지원이 가능하다.
정읍시는 이 같은 시설 및 장비 지원을 통해 생산부터 저장·선별·출하까지의 공급 사슬 전반을 친환경 구조로 재편하고, 친환경 품목의 선택지를 넓히는 데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생산과 유통이 분절되지 않고 하나의 유기적 체계로 구축돼야 지속 가능한 친환경 농업이 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른 전략이다.
이번 조치는 고령화·기후변화·시장 수요 다변화 등 복합적인 농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 차원의 대응으로 읽힌다. 정읍시가 인증 농가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동시에, 지역 농업의 품질과 신뢰도를 함께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정책을 재편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실적 의미가 크다. 농업기술센터 농수산유통과(과장 고유화)는 “친환경 생산을 고수하며 농촌 현장을 지켜 온 농가들께 감사드린다”며 “이번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농가의 실질적 요구에 맞는 지원방안을 구체화하고, 친환경 농업이 정읍의 농업 경쟁력이 되도록 책임 있게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